리오집사의 기억저장소
서버 클러스터, 클러스터링,Active-Standby구조
개발/기타
2017. 3. 9. 22:23
클러스터, 클러스터링
[일반분야] 클러스터
본래의 의미는 포도송이를 말하면 집단이나 군집을 의미한다.
[컴퓨터] 클러스터
여러 대의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는 컴퓨터들의 집합
[전산분야] 디스크 클러스터
하드디스크상의 섹터를 여러 개 모아 일정 단위로 묶은 것
[전산/전송분야] 데이터 클러스터
몇 개의 연속된 데이터 블록을 묶어 처리 또는 전송하는 단위
[전산분야]클러스터링
[전산분야]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한 기계(컴퓨터 및 CPU) 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등에 의해,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거대한 규모로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서버 클러스터
서버 클러스터란?
각기 다른 서버(Server Enterprise or server Datacenter)들을 하나로 묶어서 하나의 시스템같이 동작하게 함으로써, 클라이언트들에게 고가용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클러스터로 묶인 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면, 정보의 제공 포인트는 클러스터로 묶인 다른 정상적인 서버로 이동한다. 서버클러스터는 사용자로 하여금 서버 기반 정보를 지속적이고, 끊기지 않게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클러스터는 높은 수준의 가용성, 안정성, 확장성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보다,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시스템을 이용한다.
클러스터 기술은 세 가지 유형의 장애를 대비한다.(MS문서)
Active-Standby 구조
HA(High Availability) 클러스터링 구축 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 중 하나
HA를 구현하는 가장 큰 이뉴는 중단 없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
활성-대기 구조는 구성도 쉽고, 관리자 입장에서 운영도 쉽다.
운영 서버, 활성 서버, 대기 서버로 구성되어 있다.
한 서버가 활성 상태로 서비스 중일 때, 대기 서버는 전원이 켜져 있고 OS 까지만 올라와 있는 상태이다.
동작 방식
활성 서버에 하드웨어 장애, 네트워크 장애, 프로세스 장애 등이 발생해 서비스를 못하게 되면,
대기 서버에 있는 HA가 운영 서버의 장애 발생을 감지
HA가 자동으로 대기 서버에 모든 서비스를 올림(즉, 단방향 페일오버를 구현하는 구성)
기존 활성 서버에 접속했던 클라이언트는 접속이 끊어지겠지만, 재접속 시 바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반응형
좋아요
7
공유하기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
리오집사의 기억저장소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공유하기
'개발/기타' 의 관련글
[IT용어]모르는거,헷갈리는거,명확하지 못한 거 정리(계속 업데이트)
2017.04.18
더보기
효율적인 주석 달기
2017.03.09
더보기
[소스 트리를 활용한 Github] 2. 프로젝트 연동(연결)하기
2016.11.04
더보기
[소스 트리를 활용한 Github] 1. 계정 연동하기
2016.11.04
더보기
리오집사의 기억저장소
아메숏 고양이 리오🐯와 생활하고 있는 집사의 다양한 기록물이 저장됩니다. 주요 관심사는 🛸 IT / 🚴🏻♂️ 취미여행 / 💰 리뷰,팁 공유 / 🧑🏻💻 웹개발 ] 입니다.
구독하기
글쓰기
관리자
카테고리
맨위로
티스토리툴바
관리메뉴열기
개인정보
티스토리 홈
포럼
로그인
리오집사의 기억저장소
구독하기
닫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